분류 전체보기 (111) 썸네일형 리스트형 2023-08-17 mvc 패턴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모델-뷰-컨트롤러로 구성된 패턴으로 비즈니스 로직과 화면을 구분합니다. - 모델은 데이터와 비즈니스 로직을 관리합니다. - 뷰는 레이아웃과 화면을 처리합니다. - 컨트롤러는 명령을 모델과 뷰 부분으로 라우팅합니다. 2023-08-16 fetch의 get 요청에는 body값을 넣을 수 없다. fetch의 get 요청에는 req로 body의 값을 보내면 안된다. 시도를 해보지 않아서 몰랐지만 fetch의 get 요청에는 body 값이 보내지지 않는다는 얘기를 들었다. 찾아본 결과 body Any body that you want to add to your request: this can be a Blob, an ArrayBuffer, a TypedArray, a DataView, a FormData, a URLSearchParams, a string, or a ReadableStream object. Note that a request using the GET or HEAD method cannot have a body. 출처:https://developer.mozilla.org/en-US/d.. 2023-08-16 NoSQL과 RDBMS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서 장, 단점을 들어 설명해주세요. NoSQL는 대량의 분산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회하는 데 특화되었으며 고정된 스키마가 없는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며, RDBMS는 데이터를 테이블로 구성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데이터를 저장, 조작, 검색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둘의 차이점을 장단점으로 비교해보자면, NoSQL는 데이터 모델을 정의 하지 않고 스키마를 정하지 않아 자유로운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지만 데이터가 규격화 되어 있지 않아 Key값에 대한 입, 출력만 지원한다. RDBMS는 SQL이라는 구조화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다루기에 데이터의 분류,정렬, 탐색 속도가 빠르고 작업의 완전성을 보장한다. 하지만, 반드시 스키마 규격에 맞춰서 데이터를 다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23-08-03 forEach와 비동기 문제설명 req.body에서 받아온 객체의 데이터를 배열화 한 다음에 forEach로 데이터베이스와 body의 데이터가 유효한지 검증하는 로직을 설정했다. 하지만 에러가 발생했고 console.log로 forEach의 인자를 찍어보았다. 그리고 Promise {pending}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시도 forEach는 배열의 모든 요소마다 설정한 로직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forEach는 로직을 수행하기만 할 뿐 각 로직에 대한 결과의 출력을 기다리지 않는다. 그래서 가장 먼저 시작한 로직이 가장 늦게 될 수도 있는 것이고 나중에 시작된 로직이 먼저 결과를 출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forEach는 비동기적 함수라는 의미이다. Promise {pending}은 로직의 진행 순서를 .. 23-07-31 Error.captureStackTrace()/오류 해결한 과정 문제설명 계층화 아키텍쳐의 구조에서 에러가 발생한다면 status:400과 errorMessage를 보내도록 핸들링했다. 하지만 처음보는 에러가 발생했다. Error.captureStackTrace() 지금까지 겪었던 에러는 할당을 제대로 안해서 undefined가 나오거나 객체을 잘 못 지정했거나 타입을 착각했을 때의 오류였고 에러메세지에는 어떤 부분이 에러인지 잘 나와있었지만 Error.captureStackTrace()의 메세지는 노드 모듈에서부터 기인된 것 인지 어떤 부분이 잘 못 되었는지를 파악하기 힘들었다. 시도 일단 에러메세지를 차근차근 읽어 보았다. 그리고 역시 특정 코드의 위치를 알려주지 않았다. 모든 에러메세지는 노드모듈에서 기인되었다. 내 짰던 코드를 전반적으로 훓어 보는 것 보다는 .. 23-07-27 enum 사용하기 문제설명 models의 데이터 타입 중 하나인 enum, 열거형데이터로써 설정된 값의 데이터를 찾는데 용이하게 하는 데이터 타입이다. 타입을 설정하는 것 까지는 좋았지만 막상 데이터를 넣으려고 하니까 어떤 식으로 넣어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시도 일단 한번 넣어봤다. req.body에 {"type":"커피"}를 넣어서 mysql에 저장해봤다. 확인한 결과 type의 필드에는 아무런 데이터가 들어가지지 않았다. {"type":"coffee"},{"type":"COFFEE"} 두개를 더 넣어보았다. 그러자 type의 필드에COFFEE라는 값이 들어가 있었다. 해결 models에서 데이터 타입을 설정할 때 대문자로 COFFEE라는 값을 넣어줘서 그런건지 확인하기 위해서 소문자로 바꿔보았다. type: { ty.. 23-07-25 .env의 위치/enum의 설정 문제설명 서버와 연결을 시도할 때마다 .There is no value in Process variable라는 에러가 나왔다. ////////////////////////////////////////////////////////////////////////////////////////////////////////////////////////////////////////// 위의 연결을 해결하고 또 서버를 연결하는데 Values for ENUM have not been defined라는 에러가 나왔다. 시도 config의 코드에서 에러를 캐치하는 코드이다. function getValue(key, defaultValue = undefined) { const value = process.env[key] ||.. 23-07-20 restful한 계층형 아키텍쳐의 구조 문제설명 [내배캠]node.js의 심화 주차 lv.5에서 내가 설계한 아키텍쳐의 구조가 restful하지 않다는 얘기를 들었다. restful이란 얘기는 들어봤지만 막상 코드를 작성하면서 내가 정말 restful하게 코드를 짜려고 구상을 했었는지, 그것이 올바른 방향성인지, 내가 정말 restful한 코드가 무엇인지, restful의 개념을 알고 있었는지 되짚어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번 과제를 통해서 기능 구현 뿐만 아니라 코드 자체의 짜임새를 restful하게 설계하려한다. 시도 예전의 시청했던 강의, 그리고 과제 리뷰 등을 통해서 restful api의 설명을 들었지만 다시한번 되짚어 보았다. REST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 방식 REST API는 REST의 아키텍쳐의 스타일에 따른 api다... 이전 1 2 3 4 5 6 7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