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의존성 주입)은 객체 간의 결합도를 낮추기 위해 한 객체가 다른 객체를 외부에서 받아오는 패턴입니다.
IoC(제어의 역전)은 객체의 생성 및 관리를 프레임워크나 컨테이너에 위임하여 유연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개념입니다. DI는 IoC의 구현 방식 중 하나로, 객체가 필요한 의존성을 주입받아 동작합니다.
'내배캠 최종 프로젝트 면접 대비 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8-30 대용량 트래픽 발생 시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0) | 2023.08.30 |
---|---|
2023-08-29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0) | 2023.08.30 |
2023-08-27 http, https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0) | 2023.08.28 |
2023-08-25 TCP/UDP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0) | 2023.08.25 |
2023-08-24 쿠키, 세션의 개념과 차이를 설명해보세요 (0) | 2023.08.25 |